지난 전시


제주옹기의 소용_제주옹기의 쓰임과 매력


 

전시명:2022년 제주공예박물관 특별기획전 1  “제주옹기의 소용”
전시기간:2022년 4월 30일(토) – 7월 31일(일), 10-18시 (입장마감 : 17:30)
전시장소:제주공예박물관 (제주시 한경면 저지14길 36)
출품작:제주옹기 70여점 외 다수
문의:064-772-4280, jejucraft-mu@daum.net






허벅, 1960년대 이후, 입지름 6cm, 몸통 33×33×39cm
허벅, 1960년대 이후, 입지름 6cm, 몸통 33×33×39cm



허벅은 육지부의 물동이와 같은 용도로 물을 길어 나르는 운반용구이다. 둥근 몸체와 좁은 입구를 가진 허벅의 형태는 제주에서만 나타나는 독자적인 것이다. 


허벅의 명칭은 몽고의 가죽 물병인 '허버'에서 온 것으로 추정하지만, 그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. 그러나 거주지와 멀리 위치한 식수원에서 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이동하기 위하여 고안된 물허벅의 형태와 사용 방법은 제주 고유의 문화이자, 한국의 다원적인 전통문화인 것은 분명하다.   





귀항아리, 조선말기(1900년대 이후), 48×40×56cm
귀항아리, 조선말기(1900년대 이후), 48×40×56cm

사발시리, 조선말기(1900년 이후), 13×13×8cm
사발시리, 조선말기(1900년 이후), 13×13×8cm

씨항아리(별명:고구마 항아리), 조선말기(1900년 이후) 38×38×65cm
씨항아리(별명:고구마 항아리), 조선말기(1900년 이후) 38×38×65cm


제주공예박물관

제주공예박물관 ㅣ 대표자: 양의숙 ㅣ 사업자등록번호: 789-68-00383 

주소: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2114-60 ㅣ개인정보관리책임자: 양의숙

통신판매신고업: 제2021-제주-xxxx호 ㅣ 문의전화: 064-772-4280 ㅣ 이메일: jejucraftmuseum@gmail.com

제주공예박물관

제주공예박물관 ㅣ 대표자: 양의숙 ㅣ 사업자등록번호: 789-68-00383 

주소: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14길 36 ㅣ개인정보관리책임자: 양의숙

문의전화: 064-772-4280 ㅣ 이메일: jejucraft-mu@hanmail.net

Copyright ⓒ JejuCraftMuseum. All Rights Reserved.